중국 구급차 운전사 “군병원서 마취없이 장기적출…끔찍”

강우찬
2025년 01월 21일 오후 4:32 업데이트: 2025년 01월 22일 오전 10:59
TextSize
Print

“의사가 간을 적출하던 도중 의식을 잃었던 남성이 깨어나 비명을 질렀다. 그 비명 소리가 잊혀지지 않는다. 몸서리치게 무서웠다.”

중국 군병원에서 구급차 운전자로 근무했다는 중국인이 직접 목격한 강제 장기적출 현장에 대해 증언한 녹취록이 발표됐다.

베이징대 출신으로 미국에서 활동하는 중국 인권운동가 겸 1인 미디어 운영자 제니퍼 정은 지난 18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 중국인 A씨의 증언을 공개했다.

변조한 음성으로 공개된 녹취록에 의하면, 중국인 A씨는 여러 개 부속 병원을 거느린 중국 공산당 인민해방군 산하 한 군의대학에서 구급차를 운전하며 수년간 사형수의 형이 집행되는 것을 목격했다. A씨의 안전을 위해 그의 근무 기간, 정확한 근무지와 시간 등은 비공개 처리했다.

녹취록에 따르면, A씨가 근무하는 병원에서는 장기이식이 필요할 경우 현지 공안당국에 연락을 했고, 공안 측 관계자가 지역 내 특정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평소 확보한 신체검사 자료를 검색해 이식용 장기를 적출하기 적당한 인물을 찾아냈다.

현지 교도소에 적당한 대상자가 없을 경우 다른 지역 사형수를 물색해 이송해오기도 했으며, 상황이 급박한 경우에는 긴급 신체검사를 실시했다.

한번은 10명의 사형수를 한꺼번에 처리하기도 했는데, 사형 집행 후 시신 10구 중 8구는 보안 트럭에 싣고 어디론가 보내 폐기 처분했고 나머지 2구는 군 병원 지하시설로 옮겨 장기를 적출하고 폐기했다.

A씨는 “일반적으로 총살형을 집행할 때, 집행인이 사형수의 뇌간에 사격을 가한다. 뇌간에 사격을 당하면 즉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기 적출 대상자의 경우 사형 집행 중에는 뇌간을 피해 총을 쏜다. 이를 위해 관리들은 사형수 목뒤에 특별한 표시를 한다”고 말했다.

총살형은 전 세계에서 가장 흔한 사형 집행 방식이다. 국가에 따라 방식이 달라지지만, 대부분 사형수 뒤통수를 조준한다. 뇌간을 직접 손상할 수 있어 순간적으로 확실하게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A씨는 장기 적출 대상자들은 일부러 뇌간을 피해 쏜다고 증언했다. 중국 공산당의 장기 적출에 반대하는 의사 단체에 따르면, 그 이유는 사형수를 의식만 잃게 하고 살아있는 상태에서 장기를 적출하기 위해서다. 사람의 장기는 숨을 거두는 순간부터 빠르게 부패하는데, 의식만 잃게 하면 장기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적출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A씨는 자신이 근무하는 병원의 흉부외과 과장이 장기 적출을 하는 현장에서 적나라한 경험을 한 적도 있다고 했다.

“무자비한 성격”인 이 외과 과장은 장기 적출 대상자의 옷을 거칠게 가위로 잘라내고 소독제를 붓고 거즈로 닦은 후 메스로 빠르게 신체를 절개했는데, 한번은 간을 절개하기 위해 외과용 전기톱으로 흉골을 절단하던 도중 ‘사고’가 발생했다.

평소에는 양쪽에서 보조요원이 대상자의 어깨를 각각 잡고 흉골을 벌렸는데, 이날은 의식을 잃고 있던 장기 적출 대상자가 갑자기 비명을 지르며 깨어났다는 것이다.

주변에서 강제로 남성을 결박해 적출을 마무리했지만, 이날의 충격으로 커다란 정신적 트라우마가 남은 A씨는 구급차 운전사 일을 그만뒀고 내내 결국 이번 증언까지 하게 됐다.

또한 A씨는 일을 그만두기 전 병원 내 다른 동료들에게서도 장기 적출 수술이 자주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을 전해 들었다고도 했다.

그가 이번 사건을 폭로하게 된 계기가 된 사건에서, 머리에 총을 맞고 빈사 상태에 이른 장기 적출 대상자가 고통으로 깨어날 수 있었던 것은 마취를 전혀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A씨는 “병원의 의사로부터 마취제를 쓰지 않는 것은 마취제값을 줄이는 동시에 장기를 이식받은 ‘고객’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번 녹취록에서 A씨는 장기 적출을 당한 이들이 ‘사형수’이며 ‘기증자’라고 했다. 그러나 자발적인 기증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중국 당국은 사형수 장기를 사용한다는 국제사회의 비판에 직면해 ‘자발적 기증’이라고 주장했으나, 중국 같은 폐쇄적인 사회에서 사형수의 자발적 기증은 사실상 강요에 의한 동의라는 게 국제 인권단체들의 공통된 견해다.

국제사회의 비난 여론에 중국은 2015년 1월부터 이러한 관행을 중단한다고 선언했지만, A씨의 내부 고발에 따르면 최근까지도 여전히 같은 일이 성행하는 셈이다.

녹취록을 공개한 인권운동가 겸 저널리스트 제니퍼 정은 “이러한 수감자들이 (사형수가 아닌) 파룬궁 수련자일 가능성을 내부 고발자(A씨)는 배제하지 않았다”며 “중국 공산당은 파룬궁 탄압 초기부터 강제 장기 밀매 산업화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고 말했다.

파룬궁은 중국에서 1990년대 크게 유행하면서 수련자 수가 7천만 명 이상에 이르렀으나, 1999년 하반기부터 당국의 탄압을 받기 시작해, 수십만 명 이상이 투옥되거나 강제 노역소에 보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십만 명의 수감자가 발생한 것과 2000년부터 중국에서 장기이식 산업이 급성장했다는 기록이 시기적으로 맞아떨어지면서, 국제 인권단체에서는 파룬궁 수련자들이 중국 강제 장기적출의 주된 피해자라는 의혹 제기와 조사 보고가 이어져 왔다.

지난 2023년 미국 하원은 중국 내 불법적인(강제) 장기 적출을 처벌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강제 장기적출을 실행하거나 지원할 경우 미국 내 자산을 동결하고 미국 입국을 금지하며 최대 100만 달러의 벌금과 20년 이하의 징역을 선고할 수 있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