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對中 조선 제재 본격화…한국엔 기회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 시간) 중국 해운사를 비롯해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나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수수료는 180일 뒤인 오는 10월 14일부터 단계적으로 부과된다. USTR은 중국 기업이 운영하거나 소유한 선박에 톤(net tonnage)당 50달러의 입항 수수료를 징수하고, 이를 매년 올려 2028년에는 톤당 140달러가 되게 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이번 조치로 한국 조선업이 혜택을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 조선업의 반사이익 기류는 올 초부터 나타나고 있어서 업계는 기대하는 분위기다.
해운사들이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국산 선박 비중을 낮추고 한국 조선업체에 대한 발주를 늘릴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그동안 중국은 저가 수주를 통해 글로벌 점유율을 계속 높여왔다. 그러나 이번 미국의 ‘중국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 결정에 따라 경쟁력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지난해 전 세계 수주량의 71%를 차지했고, 한국은 17%를 수주했다.
업계는 한국은 특히 고부가가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미국 물동량 비중이 높은 액화석유가스(LPG), 에탄 운반선 수주가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최근 그리스 선주 에반겔로스 마르나키스의 캐피탈마리타임이 HD현대삼호·HD현대미포와 20척 규모 계약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입항 수수료 부과를 염두에 두고 한국 업체를 찾은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미국 USTR의 수수료 부과와 맞물려 중국 조선업체들의 올 1분기 벌크선 주문량은 13건으로 1993년 이후 32년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같은 기간 143건 대비 90.9% 감소했다.
선사들이 항로 간 중국산 선박 재배치 등을 통해 수수료 부과를 우회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조선업 분야에서 대(對)중국 견제와 한미 간 조선업 협력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은 세계적인 군함 및 선박 건조, 보수·수리·정비(MRO) 능력을 갖추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당선인 신분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과 통화에서 조선업 분야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처음 언급했다.
한편, 조선업은 미국의 반도체, 자동차 등에 대한 관세 부과, 보조금 철폐 압박 상황에서 대미 통상 전략의 지렛대 역할도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USTR의 이번 조치는 우방국과 전략적 공급망 재편 및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 전략과 맞물려 한국 조선업계에 기회가 될 것으로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