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인도, 中 비야디 시장 진입 거부…“테슬라 공장 건설은 환영”

2025년 04월 08일 오후 2:37

중국산 견제 노골화… 10억달러 투자계획도 퇴짜

중국과 인도 간 외교 관계가 최근 다소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도 정부는 여전히 중국 기업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은 최근 공식 석상에서 중국 전기차 기업인 비야디(BYD)의 인도 시장 진입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Tesla)에 대해서는 정반대의 환영 입장을 내비쳤다.

고얄 장관은 7일(현지시간) ‘인도 글로벌 포럼’에 참석해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인도의 전략적 이익을 고려할 때, 어떤 국가나 기업이 인도에 투자할 수 있을지를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며 “현시점에서 비야디의 인도 진출은 ‘불가’”라고 말했다.

그는 외국인 투자를 환영한다고 밝히면서도, 중국 자본과 기술 유입에 대해서는 “엄격한 심사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자본이 자국 시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인도의 이 같은 입장은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비야디는 2023년 현지 파트너사와 손잡고 약 10억 달러 규모의 합작 투자 계획을 추진했으나, 인도 정부는 이를 거부한 바 있다. 또 다른 중국 업체인 창청(長城)자동차도 여러 차례 승인 지연 끝에 결국 2022년 인도 시장에서 철수했다.

인도, 미-중 무역 갈등 속 선진국과 협상 체결에 적극적

고얄 장관의 이번 발언은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고조되는 시점에 나왔다. 같은 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4월 8일까지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추가로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중국을 둘러싼 장벽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이러한 대외 환경 속에서 인도는 미국, 유럽연합(EU) 등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고얄 장관은 “선진국들과의 무역 협상에서 인도는 유리한 협상 여지를 갖고 있다”고 말하면서도, 중국산 제품의 ‘덤핑’ 가능성에 대해서는 경계심을 드러냈다.

인도 정부는 한편으로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의 인도 공장 설립을 유도하기 위해 여러 차례 접촉을 시도해 왔다. 인도 유력 일간지 ‘인디아 타임스’는 지난해 2월, 인도 정부가 테슬라에 대해 관세 혜택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테슬라가 인도 현지에 생산시설을 세운다는 조건에서다.

현재 인도는 가격에 따라 수입 전기차에 70% 혹은 100%의 관세를 부과한다. 이는 트럼프 관세 이전을 기준으로 미국(2.5%), 독일(약 10%), 중국(25%)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해외에 공장을 둔 외국 자동차 업체에는 엄청난 비용 부담이다. 테슬라가 인도 시장 진출을 미루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보호주의 흔들리는 인도… 전기차 정책 ‘갈림길’

인도는 오랜 기간 보호무역 정책을 통해 자국 자동차 산업을 육성해 왔다. 타타모터스, 마힌드라 등은 정부 보조금과 각종 혜택을 받아 중저가형 전기차 및 SUV 시장에서 강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외국 기업 유치를 놓고 갈등이 표면화되고 있다. 자국 자동차 업계는 관세 완화에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외국 브랜드가 저가 공세로 시장을 장악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

이에 인도 정부는 ‘해외 투자를 유치하되, 자국 산업도 보호한다’는 이중 전략 속에서 뚜렷한 방향성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테슬라와 같은 글로벌 기업의 공장 유치를 통해 ‘세계 전기차 제조 중심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내걸고 있다.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지만 높은 관세 장벽, 복잡한 절차, 불투명한 승인 제도 등은 외국 기업들의 투자를 어렵게 만드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빠르게 성장 중이며, 특히 2만5000달러 이하의 합리적인 가격대 차량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자국 산업 보호와 외자 유치 사이에서 균형을 어떻게 잡느냐가 인도가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