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대피 도운 인도네시아인 3명, 韓 장기체류 자격 부여

정부가 경북 의성 산불 당시 주민 대피를 도운 인도네시아인 수기안토 씨(31세) 등 3명에게 장기 거주 자격을 부여하기로 했다.
이한경 산불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6일 “이번 산불 때 대피에 어려움을 겪던 할머니 등을 도운 인도네시아 국적의 세 분에게 특별기여자 체류자격을 부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차장은 또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이웃의 생명을 구한 이들에게 감사의 마음도 전했다.
이들 3명은 F-2 자격을 얻게 된다. F-2 자격은 외국인이 한국에서 장기 체류할 수 있는 비자로, 법무부 장관이 대한민국에 특별한 기여를 했거나 공익 증진에 이바지했다고 인정하는 사람에게 부여할 수 있다.
정부는 산불 피해 지역 산사태 발생을 막기 위한 2차 피해 예방 대책도 세웠다.
이 차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다가오는 여름철에 산불피해지에 대한 산사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2차 피해예방 대책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산림청은 오는 12일 산사태 우려 지역 긴급 진단을 마무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6월 말까지 방수포 설치 등 응급 복구를 추진한다.
행안부는 국토교통부, 산림청, 지자체,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관계부처 합동 토사재해 최소화 대책을 마련한다. 보건복지부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상태를 고려해 우선 대피 대상자를 선정하고, 전원(轉院) 가능한 시설과 이동 수단을 확보해 사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예정이다.
6일 오전 6시 기준 대피 중인 이재민은 3193명이고, 이 가운데 2462명은 임시숙박시설로 거처를 옮긴 상태다.
이재민에게 지급된 응급구호세트 등 구호 물품은 100만 점에 육박했고, 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모인 국민 성금은 지난 4일 기준 925억1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방송·통신 및 상·하수도 시설에 대한 복구는 완료됐고, 전력 장애 복구율도 99.9%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