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美 고율 관세 부과에…정부, 공급망·경쟁국 지켜보며 신중 대응

2025년 04월 06일 오전 8:35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전방위적인 고율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의 해외 생산기지에도 높은 관세가 적용됨에 따라 공급망 재편과 경쟁국들의 협상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지난 4월 2일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연설에서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는 추가적인 ‘상호 관세’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도 25%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에 대응해 우리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의 방미를 추진하며 공식 협상 채널을 가동할 계획이다. 그러나 협상 결과물을 서둘러 도출하기보다는 전략 수립에 신중을 기하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섣불리 패를 드러내기보다는 일본, 유럽연합(EU) 등 경쟁국들의 대미 협상 경과를 주시하며 차분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기업들이 주요 생산기지로 활용하는 베트남에 46%의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서, 국내 기업들의 공급망 재편이 불가피해졌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 스마트폰 생산 물량의 50% 이상을 베트남에서 조달하고 있어 이번 관세 부과로 미국 시장 진입에 제약이 예상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주요 산업계가 해외 생산기지로 삼는 국가들도 미국의 고율 관세를 맞은 상황이어서 우리 기업들의 교역 구조와 공급망 재편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며 “이 과정을 지켜본 뒤 본격적인 통상 협상에 뛰어들기 위해 정부와 업계가 숨 고르기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경쟁국들의 상황도 지켜봐야 하므로 한국이 먼저 나서서 패를 내보이며 협상을 진행하는 것이 우리 산업계에 절대 유리한 게 아니다. 지금은 차분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자동차 산업에 대한 긴급 지원 대책을 이번 주 중 발표할 예정이다. 이 대책에는 국내 소비 진작, 기술 경쟁력 강화, 공급망 재편에 필요한 비용 지원 방안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업계는 대미 교역 구조와 공급망 재편을 중심으로 대응책을 마련하는 한편, 경쟁국들의 협상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며 신중한 협상 전략을 수립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