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대행 “통상본부장 즉시 방미 추진…美 관세 대응에 총력”

정치권에 “초당적 협력” 요청
정부, 긴급 TF 가동…자동차 산업 즉시 지원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와 부품 등 주요 제품에 대해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즉각적인 대미 협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3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제3차 긴급 경제안보전략 TF’ 회의에서 “통상교섭본부장의 즉각적인 방미를 추진하고,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번 미국의 조치는 국제 자유무역 질서와 글로벌 공급망 구조를 바꾸는 중대한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수출 주도의 한국 경제에 커다란 부담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정부는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고, 통상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협상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날부터 관세가 즉각 적용되는 자동차 산업에 대해서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긴급 지원 대책을 마련 중이며 다음 주 내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중소·중견기업 등 취약 부문에 대한 선제적 지원책도 빠르게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또 “이번 사태를 계기로 우리 산업과 경제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을 합리화하고, 산업의 체질을 바꾸는 계기로 삼겠다”고 했다. 그는 “긴밀한 대미 협상과 함께 통상 질서 재편에 맞춘 구조 전환이 시급한 과제”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치권의 협조도 당부했다. 한 권한대행은 “관세 조치와 내수 부진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 기업들을 위해서는 정치적 이견을 넘어선 초당적 협력이 절실하다”며 “통상 위기 극복을 위한 국익 중심의 협력을 요청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미국의 이번 관세 부과 결정에 대해 국내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기업 210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의 60.3%가 이번 관세 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대응이 절실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대미 협상력 강화는 물론, 국내 산업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끌어올리는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