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불’, ‘美관세’…할 일 산적한 韓대행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24일 직무에 복귀했다. 헌법재판소가 야권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시킨 ‘한덕수 총리 탄핵안’을 기각시키면서다. 87일 만에 복귀한 한덕수 총리 앞엔 할 일이 산적하게 쌓였다는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한덕수 총리는 이날 직무에 복귀하자마자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담화를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헌법과 법률에 따라 안정된 국정 운영에 전력을 다하는 한편 이미 현실로 닥쳐온 통상 전쟁에서 우리나라의 국익을 확보하는 데 모든 지혜와 역량을 쏟아붓겠다”고 밝혔다.
한덕수 총리는 그러면서 “지금 세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과 함께 미·중 패권 경쟁이 격화되고, 새로운 지정학적 대변혁과 경제 질서 재편에 직면하고 있다”며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대외적 불확실성을 주목했다.
이에 외교부는 발 빠르게 대미(對美) 대응에 나섰다. 외교부는 이날 “헌법재판소의 한덕수 총리 탄핵 기각 결정을 주요국에 설명했다”고 밝혔다. 김홍균 1차관은 이날 오전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와의 통화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한미 동맹을 굳건히 유지하고 양국 협력을 증진하자”고 했다.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는 “앞으로도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자”고 화답했다.
정병원 외교부 차관보는 미바에 다이스케 주한일본총괄공사·다이빙 주한중국대사와의 통화에서 “앞으로도 양국과의 관계가 변함없이 발전하도록 긴밀히 협조하자”고 했다.
한덕수 총리는 대국민담화 후 영남권 산불 대응에 총력을 가하고 있다. 그는 “오후엔 큰 산불로 인해서 고통을 받고 계신 분들을 뵙겠다”며 “돌아가신 분들에 대해서 내가 직접 손으로 위로의 편지를 드렸다. 정말 가슴 아픈 일이고 그분들의 명복을 빈다”고 밝혔다. 이어 “산불 피해지역인 경북 의성과 울산 울주도 특별재난지역으로 신속히 선포하겠다”고 부연했다.
이와 관련, 지난 주말 경남 의성 등 영남권 일대를 중심으로 동시다발 산불이 번졌다. 화재를 진압하고자 출동한 진화대원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친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실에 따르면 한덕수 총리는 경북 산불 피해와 관련해 “피해 지역 주민들이 하루빨리 온전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산불이 완전히 진화될 때까지 기관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범정부적 총력 대응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