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개인정보위, ‘딥시크’서 ‘비야디’로 실태점검 전선 넓혀

2025년 03월 07일 오후 3:54

중국 AI(인공지능) 서비스 딥시크에 대한 실태 점검에 나섰던 개인정보위원회가 비야디(BYD)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개인정보위는 7일 “최근 비야디 차량의 국내 출시 관련 개인정보 이슈가 제기됨에 따라, BYD코리아 측에 관련 사실내용을 문의했다”고 밝혔다.

개인정보위가 비야디 차량에 대한 점검에 나선 것은 ‘비야디·딥시크 협력 전선’과 연관이 깊다. 최근 비야디는 자국 AI(인공지능) 딥시크와 ‘신의 눈(자율주행시스템)’ 개발에 나섰다.

비야디 측은 “(개인정보위 문의에) 개인정보 처리방침과 이용자 매뉴얼 등의 개선작업에 이미 착수했다”며 “국내에서 제품 출시 전까지 우리나라 개인정보 보호법을 충실히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딥시크는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자국 정치권에 공유한다는 의혹으로 인해 여러 구설에 올랐다.

실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달 정부 당국은 딥시크 서비스 출시 이후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처리 방식에 관한 공식 질의를 보낸 데 이어 딥시크 서비스에 대한 자체 분석에 돌입했다. 이 과정에서 딥시크가 제3자인 ‘바이트댄스’에 이용자 입력 정보를 전송한 것을 포착했다. 바이트댄스는 글로벌 SNS앱 틱톡의 모회사다. 결국 개인정보위는 딥시크가 관련 서비스를 시정하기 전까지 ‘딥시크 앱의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을 결정했다.

사이버보안업체 페루트 시큐리티의 ‘이반 차린니’ CEO도 최근 한 방송사 인터뷰에서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딥시크의 코드를 해독한 결과 감춰진 부분이 발견됐다”며 “딥시크에 가입하거나 로그인하는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게 중국 내 계정을 만들게 돼 신원, 사용한 검색어, 온라인상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가 중국 정부 시스템에 노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국제사회의 큰 흐름의 일환이다. 실제 미국 연방의회는 딥시크의 서비스 앱(애플리케이션)을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미 하원 정보위원회 소속 ‘대런 라후드’ 공화당 의원은 ‘조시 고트하이머’ 민주당 의원과 함께 해당 내용의 법안 발의를 예고했다. 한국과 미국뿐 아니라, 대만·호주·이탈리아 등에서도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IT업계 관계자는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로 시작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중국산 제품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문제는 이렇게 수집된 정보가 중국 당국에 넘어가 어떻게 활용될지 알기 힘들다는 점”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철저한 보안 점검과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경고가 커지고 있다”며 “정부와 정치권은 개인정보 유출을 막을 대안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