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준 대통령경호처장이 10일 오전 국가수사본부에 출석해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저지를 주도한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
박 처장은 경찰에 출석하면서 “현직 대통령 신분에 걸맞은 수사 절차가 진행돼야 한다. 현재와 같은 체포영장 집행 방식 절차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우리나라 국격에 맞게 대통령에게 적정한 수사가 진행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주장했다.
박 처장은 또 경찰 조사에 불응할 계획이 없었고 출석이 늦어진 이유는 “경찰 소환조사에는 처음부터 응하기로 마음을 먹었고, 다만 변호인단의 준비가 다소 늦어져서 오늘 응하게 됐다”고 하였다. 박 처장은 “경찰이 친정인 제가 경찰 소환을 거부하고 수사를 받지 않는다면 국민 누가 경찰 수사를 받겠나. 수사기관으로서 경찰 위상을 저는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박 처장은 물리적 충돌이나 유혈 사태가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여러 차례 전화해 정부 기관 간 중재 건의를 드렸고 또 대통령 변호인단에도 제3의 대안을 요청했다”면서 “그러나 그에 맞는 답을 얻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공수처와 경찰의 체포영장 2차 집행을 앞두고 직접 ‘중재’를 시도한 사실도 밝혔다.
박 처장은 지난 3일 한남동 관저에서 윤 대통령 체포영장 저지를 주도한 혐의로 경찰에 특수공무집행방해로 입건됐고, 경찰의 두 차례에 걸친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특수공무집해방해 혐의에 대해선 수사 과정에서 상세히 소명하겠다고 했다.
국가수사본부는 수도권 형사기동대 등 대규모 인력을 투입해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상황이라 경호처 간부들이 경찰에 출석할 경우 공수처와 경찰로서도 집행 시점과 방식 등을 재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박 처장이 경찰 소환조사에 응하면서 경호처 지휘부의 신병 처리 문제가 윤 대통령 체포영장 2차 집행의 핵심 변수로 떠올랐다.
한편, 박 처장이 복귀할 때까지 김성훈 차장이 직무를 대행하게 된다. 김 차장도 이진하 경비안전본부장과 함께 경찰로부터 출석 요구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