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출범에 비상 걸린 韓…대응책 마련에 ‘동분서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체제의 미국 행정부가 오는 20일 출범하는 가운데, 이를 연결고리로 한국 경제엔 어느 때보다 대외적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기류가 팽창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예고한 ‘미국발 보편 관세’ 예고를 비롯해 유럽연합(EU)·인도 등이 보호무역중심의 통상정책을 연달아 예고했기 때문이다.
8일 경제계 관계자들 발언과 관련 자료를 종합하면,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대선 기간 당시 ‘보편 관세 시행’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지난달 1일 출범한 EU 집행위원회 2기 역시 ‘바이 유로피안’이란 보호무역주의 성격이 짙은 정책을 예고했다. 중국을 대신할 미래 시장으로 부상한 14억 인구 강국의 인도 역시 보호무역 태세에 돌입했다.
한국 경제에 대외적 불확실성이 짙어지자, 당정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해졌다. 당정은 이날 국회에서 고위당정협의회를 열고 ‘대외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당정은 조속히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기획재정부 장관 중심 대외경제현안 간담회 매주 가동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미국 방문 등 각급 대미 소통 체계 구축 ▲무역위원회(무역국제기구) 전면 확대 개편 및 10조 원 규모의 공급망 기금 가동 등을 합의했다.
여기에 대(對)중국 공급망 취약 품목에 대응하고자 유망 신흥국과의 통상·광물 협력을 넓혀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통상 분야 신흥국으로 아랍에미리트(중동)·과테말라(중앙아메리카) 등과 교류를, 광물 분야 신흥국으로 탄자니아(아프리카)·칠레(남아메리카) 등과 교류를 각각 추진할 계획이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고위당장협의회 모두발언을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대외 경제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며 “보편 관세를 앞세운 트럼프 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대미 무역 흑자국에 대대적 관세 카드를 들이밀 ‘트럼프 2기의 파고’를 넘기 위해 전방위적 대책을 신속하게 도출해 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다.
금융권에서도 비슷한 기류가 감지됐다. 국내 중국 펀드 자금을 철수하는 투자자들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중국 펀드 185개에서 최근 6개월간 1조 613억 원의 투자금이 철회됐다. 최근 한 달간 철회된 투자금은 2102억 원에 육박한다.
이 역시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을 대비하기 위한 투자자들의 결단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시 ‘중국에 약 60% 고관세 부과’ 가능성이 큰 점에서 미중 무역 갈등이 격화될 것이란 전망도 뒤따른다.
싱가포르 금융업체 IG 소속의 ‘옙 준 롱’ 시장 전략가는 최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관세 부과 공약이 결국 협상을 거쳐 낮은 수준으로 조정될 수 있겠지만 지금 단계에서 이를 기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정책이 구체화할 때까지는 당분간 자금 유입이 제한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