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활성화 정체된 ‘부동산’…수도권도 지방도 살얼음판

하정현
2024년 12월 31일 오후 5:10 업데이트: 2024년 12월 31일 오후 9:10
TextSize
Print

국내 부동산 활성화가 정체 현상을 보이는 가운데, 해당 현상이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팽창하고 있다.

31일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기준 전국 주택 거래량과 인허가 실적 등을 담은 ’11월 주택 통계’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강력한 대출 규제가 이어지며 서울 아파트 거래가 4개월 연속 감소했다. 정부는 지난 8월 무주택자용 대출인 디딤돌·버팀목 대출 금리를 상향 조정하고, 9월에는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시행하는 등 강력한 대출 규제 기조를 진행 중이다.

특히 아파트 거래를 포함한 지난달 전국 주택 거래량은 전달보다 13% 감소했고, 전월세 거래도 9.5% 줄었다. 이 중 11월 전국 주택 매매량은 4만 9천114건으로 전월(5만 6579건)보다 13.2% 감소했다. 수도권은 2만 1777건으로 전월보다 12.9% 감소했고, 지방은 2만 7337건으로 전월 대비 13.4% 감소했다.

완공됐음에도 입주자를 찾지 못한 아파트도 16개월째 증가세를 그리고 있다. 소위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지난 11월 기준 1만8644가구로 집계됐다. 이들 가구는 지난 10월 대비 1.8%(1만8307가구) 증가했다.

같은 날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11만 900가구로 올해보다 27.7% 감소할 전망이다. 또 높은 매매가와 관망세로 매매 수요는 전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전문가 ‘10명 중 7명’은 내년 상반기에도 수도권 전월세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가운데 수도권과 지방의 집값 양극화는 더욱 심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달 말 ‘2025년도 전국 주택 매매가격 전망’을 발표했다. 그 결과, 서울과 수도권은 각각 1.7%, 0.8% 오르고 지방은 1.4%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국지적으로 일부 재건축 단지 등에서 신고가 경신 사례가 포착됐지만, 기존 대출 규제와 계절적 비수기로 인해 거래가 위축된 상황”이라며 “관망세를 보이는 단지가 여전히 혼재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부동산업계 관계자 역시 기자와의 통화에서 “우리나라 정치가 안정되는 시기까지는 매수 심리의 위축으로 인해 ‘정치의 정상화’가 이뤄질 때까지 정체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