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안보보좌관 지명자, 중국 해킹에 강경 대응 시사

미국 대통령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의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지명된 마이크 왈츠 연방 하원의원(공화당)이 중국의 해킹에 대한 강경한 조치를 예고했다.
대중 강경파인 왈츠 지명자는 15일(현지시각) 미 CBS ‘페이스 더 네이션’과의 화상 인터뷰에서 중국의 해킹에 대해 “전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더 비싼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중국 공산당의 지원을 받는 해커들의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앞서 지난 4일 백악관은 중국 해커들이 최소 8개의 미국 통신회사 및 인프라 기업을 해킹, 트럼프와 부통령 당선인 JD 밴스까지 포함한 고위 관리와 정치인들의 전화 통화와 문자 메시지 등 통신 기록에 접근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왈츠 지명자는 “우리는 수년 동안 사이버 보안과 관련하여 방어를 개선하려고 노력해 왔다”며 “그럼에도 계속해서 데이터를 훔치는 개인과 국가를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공산당이 지원하는 중국 해커집단 ‘볼트 타이푼’을 언급하며 “인프라 해킹은 미국 인프라, 수도 시스템, 전력망, 심지어 항구에 시한폭탄을 설치하는 것과 같은 행위”라고 그 심각성을 강조했다.
이어 차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제재를 가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는 “사이버 분야에서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며 상대가 치러야 할 비용을 높여 공격을 중단하게 하는 방법을 취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방법은 밝히지 않았다.
왈츠 지명자는 또한 미국의 민간 기술 산업도 미국 정부의 국방을 돕는 등 일부 역할을 할 수 있다며 민간 기업과의 협력도 시사했다.
백악관에는 사이버 공격 대응을 전담하는 전담팀이 있으나 이달 초 발표된 해킹 사건과 관련해 미국의 8개 기업 중 어느 기업도 네트워크에서 해커의 침투를 성공적으로 방어하거나 제거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출범 후 중국 공산당의 사이버 해킹에 대해 더 광범위하고 강력한 대응을 표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