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인구, 사상 처음 40대 추월…“급격한 고령화 대비해야”

이윤정
2024년 10월 04일 오후 2:34 업데이트: 2024년 10월 04일 오후 5:49
P

대한민국의 고령화 현상이 가속하면서 60대 인구가 처음으로 40대 인구를 앞질렀다.

10월 4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7월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60~69세 인구는 777만 242명으로, 40~49세 인구(776만 9028명)보다 1214명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인구수 기준으로 가장 많은 연령대는 50대(872만 2766명)이며, 60대가 그 뒤를 이었다.

행정안전부는 2008년 인구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60대 인구가 40대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그동안 50대 인구가 가장 많고, 이어 40대와 60대 순으로 많았지만, 이번에 40대와 60대의 순위가 바뀐 것이다. 이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인구 구조의 변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령화 현상은 65세 이상 인구의 급증에서도 뚜렷이 나타난다. 올해 7월 기준으로 65세 이상 인구는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섰다.

7월 기준 대한민국의 평균 연령은 45.2세로, 10년 전인 2013년(39.9세)보다 5.3세, 1년 전인 2023년(44.6세)보다 0.6세 증가했다.

이러한 고령화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지난 9월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에 따르면 가구주 연령이 80세 이상인 가구는 2022년 119만 4천 가구에서 2052년 487만 6천 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30년 만에 368만 2천 가구가 늘어, 80세 이상 가구는 지금보다 4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평균 연령의 상승은 경제 활동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문제의 심각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다. 특히 기업은 업종 상관없이 전체 근로자의 평균 연령이 전부 늘어나고 있어 인건비 증가와 생산성 하락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고학력의 건강한 50대 은퇴 인력을 재고용할 수 있는 정책이 시급하다는 진단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번 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금, 복지, 고용 정책의 재정비와 더불어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인구 감소에 따른 경제 구조의 변화도 깊이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비한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사회 구조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가파르게 고령화에 진입하면서 사회적 비용도 함께 상승하고 있다”며 “조세 부담과 사회보험료를 합한 국민부담률이 현재는 OECD 평균을 하회하고 있지만 5년 이내 국민부담률이 가파르게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로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연금개혁도 그 일환의 하나이기 때문에 소득대체율의 적절한 균형을 찾아 더 늦지 않게 개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희 KDI 연구위원은 지난해 ‘노인 빈곤에 관한 연구: 소득과 소비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노인 빈곤 완화를 위해 기초연금은 경제성장과 연금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한 고령층에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