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복권’ 놓고 동상이몽…친한·친명·친문의 입장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의 이름이 정치권에서 연일 오르내리고 있다. 정부가 오는 15일 광복절을 앞두고 김 전 지사의 복권을 재가할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이를 바라보는 여권과 야권의 입장은 복잡하다. 특히 야권은 더불어민주당 내 계파별로도 입장이 달라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12일 정치권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김 전 지사가 법무부의 복권 대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국민의힘 지도부를 구성한 친한계(친한동훈계)는 불편함을 토로했다. 한 대표가 김 전 지사 복권에 반대한다는 뜻을 대통령실에 여러 경로를 통해 전달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한 대표가 김 전 지사 복권에 반대하는 배경으로는 ‘민주주의 파괴 범죄’가 꼽힌다. 민주주의 파괴를 저지른 정치인의 복권은 국민의 공감을 살 수 없다는 취지다. 김 전 지사는 지난 2017년 19대 대선을 앞두고 벌어진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복역하다 2022년 12월 사면된 이력이 있다. 이어 김 전 지사는 이 사안과 관련해 자신의 범행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에 정치권 일각에선 김 전 지사의 복권이 민주당 분열을 핵심으로 한 노림수란 전망과 달리, 정부와 여당 간 갈등부터 수면 위로 올라온 것 아니냐는 후문이 돌고 있다.
정부·여당뿐 아니라 김 전 지사 복권을 바라보는 민주당 내 각 계파 간 시선도 온도차가 존재한다. 이재명 전 대표를 중심으로 한 친명계는 김 전 지사의 복권이 여권의 정무적 행위라고 주장하는 반면, 문재인 정권을 창출했던 친문계에서는 ‘다양성 회복’이란 입장을 보인 것이다.
친명계 인사로 분류되는 장경태 의원은 한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민주당이 전당대회로 새로운 지도 체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유력 인사를 복권하는 것이 정치적 의도가 없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친명계 안팎에선 김 전 지사가 비명계를 규합해 ‘이재명 대항마’로 나서는 상황을 경계하는 분위기도 감지됐다.
반면 친문계에서는 친명계와 반응을 달리했다. 박지원·고민정 의원, 당대표 후보인 김두관 전 의원 등 비명계는 김 전 지사의 복권에 대해 “환영한다”,“민주당의 다양성을 살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문재인 정부 당시 박 의원은 국정원장을, 고 의원은 대통령실 대변인을 각각 지냈다. 김 전 의원은 문 전 대통령과 함께 노무현 정부에서 고위 공무원으로 호흡을 맞춘 바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대통령실에서 야권발 ‘이이제이(以夷制夷)’를 노린 것으로 보이지만, 이 이이제이가 야권뿐 아니라 여권에도 적용되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어 “여도 야도 반발하는 이런 정치적 노림수를 왜 만드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