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당대표 연임’ 굳어지나…최고위원 경선은 안갯속

더불어민주당 8·18 전당대회에서 당권 레이스의 주자가 윤곽을 드러냈다. 이재명 당대표 후보가 총 17차례의 지역 순회경선 중 16차례의 경선에서 모두 압승하며 ‘이재명 지도부 2기 출범’에 시동을 걸었다.
다만 최고위원 레이스는 경쟁자들의 각축전이 지속됨에 따라 오는 18일 전당대회 당일이 돼서야 5인의 최고위원 당선인들이 선별될 모양새다.
12일 민주당에 따르면 전날 기준 후보별 순회경선 권리당원 온라인 투표 누적득표순은 ▲이재명 89.21% ▲김두관 9.34% ▲김지수 1.45%로 각각 집계됐다. 이 후보의 득표율이 김두관·김지수 두 후보의 득표율을 합친 것보다 약 8배 이상 높은 점에서 이 후보의 당선이 기정사실화됐다는 해석이 뒤따른다.
이 후보가 다른 두 후보와 달리 지역 순회 경선에서 압승 행진을 펼치는 데 대해선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우선 민주당 안팎에선 이 후보가 중도층 포섭을 위한 정책 아젠다를 빠르게 선점한 데 주목했다. 실제 이 후보는 지난달 11일 당대표 연임 도전 기자회견 후 취재진과 만나 금투세(금융투자소득세)·종부세(종합부동산세) 등을 핵심으로 한 감세 정책을 꺼냈다. 당시 이 후보의 감세 정책은 정부·여당에서 추진하는 정책과 궤를 같이함에 따라 중도층 끌어안기에 나섰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 중 금투세는 금융투자 수익이 5000만 원 이상일 경우 초과 수익 중 22%를 세금으로 부과하는 세무 정책이다.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인 지난 2022년 말 여야 합의로 인해 오는 2025년까지 해당 정책을 유예하기로 했다. 당시 정부·여당은 유예 정책으로 중도층 일부의 환호를 이끌었다. 이 후보가 꺼낸 종부세 정책도 같은 맥락이다.
이 후보에 앞서 지난 4·10 총선에서 서울에 출마한 일부 민주당 국회의원 후보들은 종부세 완화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중구성동구을 지역의 박성준 의원과 광진구을 지역의 고민정 의원이 그렇다. 900만 인구가 모인 서울에서 중산층 표심을 얻기 위해선 감세 정책이 필요하단 공감대는 예전부터 거론됐다. 이를 이 후보가 2기 지도부 구축 및 정권 교체를 위해 빠르게 선점한 것으로도 보인다.
일찌감치 윤곽을 드러낸 당권 레이스와 달리 최고위원 레이스는 안갯속이다. 전날 기준 후보별 순회경선 권리당원 온라인투표 누적득표 순은 ▲김민석 18.03% ▲정봉주 15.63% ▲김병주 14.02% ▲한준호 13.66% ▲이언주 11.56% ▲전현희 11.54% ▲민형배 10.53% ▲강선우 5.03%로 각각 집계됐다.
1위부터 5위까지 정해지는 최고위원직은 모두 오차범위 안팎으로 접전을 펼치는 점에서 쉽게 순위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후문이다.
향후 남은 지역 경선은 오는 17일 치러질 서울 한 곳뿐이다. 서울의 권리당원 수는 21만5000명으로, 전체 당원의 17%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경선과 달리 오는 18일 치러질 전당대회는 권리당원 투표와 대의원 투표, 일반 여론조사 결과가 한 번에 공개된다. 비율은 권리당원 56%, 대의원 14%, 일반 여론조사 30%로, 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 측은 이 결과들을 종합해 차기 지도부를 최종 선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