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기준금리 5.25~5.50% 유지…9월 금리인하 신호

기준금리, 작년 7월 이후 1년 째 동결
9월 정책전환 예고…대선 코앞 ‘정치 개입’ 논란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31일(현지시각)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오는 9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연준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이날,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5.25~5.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금리는 지난해 7월 결정한 후 1년째 유지 중이다.
이날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연준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이라며 지난 6월 FOMC 때 사용한 “여전히 높은 수준”보다 완화된 표현을 사용했다.
또한 “FOMC의 목표치인 (연간 물가 상승률) 2% 목표를 향한 진전이 있었다”면서 “실업률이 4.1%로 여전히 낮다”고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모두 금리 인하를 시사하는 발언으로 읽힌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직접 시사했다.
그는 “물가 상승 압력이 전반적으로 완화하고 있다”며 “향후 데이터가 예상대로 나오면 금리 인하에 대한 지지가 커질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예상에 어느 정도 부합하고, 성장이 상당히 강하며, 노동 시장이 현재 상황과 일관되게 유지된다면 9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가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선 석 달 앞두고 금리 인하..공화당 “정치 행위”
연준은 정치 개입을 부인하고 있으나, 공화당에서는 9월 금리 인하가 대선에 영향을 끼치려는 시도라고 비난해왔다.
금리 인하는 경기 침체를 사전에 막기 위한 취지다. 공화당은 대선 투표일(11월 3일) 직후에 열리는 다음번 FOMC 정례회의(11월 5일) 때 금리 인하를 결정해도 늦지 않으며, 대선 개입을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그때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지난 7월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 공화당 의원들은 9월 금리 인하는 유권자들에게 대출 금리를 낮추겠다는 일종의 정치적 메시지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당시 청문회에 출석해 상반기 통화정책을 보고한 파월 의장은 연준의 금리 결정은 경제의 상태와 방향, 인플레이션 연간 목표치인 2% 달성을 위한 것일 뿐, 정치적 일정은 고려 대상이 아니라고 답변한 바 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 목표치(연간 2%)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를 사용한다. 미국의 PCE 물가지수는 2022년 6월 7%를 넘어섰으나 2년 후인 올해 6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에 그치는 등 월별 동향을 볼 때 목표치에 근접하고 있다.
시장은 연준이 9월 금리 인하를 사실상 예고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미국 투자자문사 시버트 파이낸셜의 최고 투자 책임자 마크 말렉은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파월의 발언을 들으니 9월 금리 인하를 염두에 두고 있음이 분명해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