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교육정책을 책임질 교육감 선거가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중국 공자학원 관련 질의서에 대한 후보자들의 답변서가 추가적으로 도착했다.
29일 시민단체 ‘공자학원 실체 알리기 운동본부'(공실본)는 이틀 전 발표한 강원도 교육감 선거 유대균 후보 외에 부산 하윤수 후보, 제주도 김광수 후보가 각각 답변서를 보내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공실본의 공자학원 관련 질의서에 답변한 6·1 교육감 선거 후보는 이날까지 총 3명으로 확인됐다. 이 밖에 서울시에서 출마한 박선영 후보는 구두로 공자학원에 관한 관심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 하윤수 후보는 공자학원이 국내에 39곳(국립대학 6곳 포함)에 설치돼 있는 등 교육계에 침투한 현상에 대한 답변서에서 “최근에 안 사실”이라며 “진상 파악을 해보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또한 공자학원 교재에 마오쩌둥을 찬양하는 중국어 노래가 실렸으며, 6·25 전쟁과 관련해 ‘중국은 사회주의 나라(북한)를 도와서 외래 침략과 간섭을 대항하기 위해 참전했다’, ‘미국이 조선(북한)을 침입했다’ 등으로 묘사한 데 대한 질의에 “질문 내용이 사실이라면 심각하다 못해 위기”이라며 “적극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제주도 김광수 후보는 미국, 캐나다 등 국가에서 공자학원 수십 곳이 폐쇄됐고 일본 정부도 운영실태 전수 조사에 들어갔으므로 한국도 비슷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질의에 대해 “공자학원 폐쇄를 교육감이 결정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공자학원이 국내에서 학생들에게 6·25 전쟁에 대한 역사를 왜곡하고 친(親)중국 공산당 역사관을 주입하고 있다는 질의에 대해서는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문제점이 있다면 개선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공자학원은 중국 정부가 2004년부터 해외에 설립한 ‘중국어 교육 및 중국과의 교류 협력 기구’다. 중국 정부가 설립비용과 운영자금 상당분을 지원하고 중국어 학습교재와 강사진도 제공한다. 이에 힘입어 2020년 말 기준 162개국 540곳이 운영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공자학원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으면서 제동도 걸리기 시작했다. 2013년 캐나다 온타리오주는 세계 최초로 공자학원을 폐쇄했다.
현지 공자학원이 강사를 채용하면서 중국에서 탄압받는 파룬궁(法輪功) 수련자를 제외했는데, 이는 캐나다의 인권 규정에 위배됐기 때문이었다. 온타리오주 해밀턴 교육위원회는 ‘인권탄압을 해외로 수출한 사례’라며 공자학원을 퇴출시켰다.
이후 공자학원이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을 해외로 확대하는 스파이 기관이라는 폭로가 이어지면서 미국, 캐나다, 호주, 스웨덴, 노르웨이, 독일, 덴마크 등의 국가에서 100여 곳 이상이 폐쇄됐다.
한국에서도 이 같은 국제적 흐름에 발맞춰 2020년 11월 대학교수, 활동가 등으로 구성된 공실본이 발족했다. 공실본은 앞서 운영됐던 ‘공자학원 조사 시민모임’, ‘공자학원 추방 국민 운동본부 등 2개 단체가 연합하면서 탄생했다.
그간의 활동을 통해 공자학원 ‘무풍지대’였던 한국에서 공자학원을 퇴출시키려면, 먼저 그 실체와 위험성을 알려 국민적 경각심을 고취할 필요성이 있음을 절감했기 때문이다.
공실본은 교육감 선거에 앞서 이달 중순 전국 15개 시·도 교육감 후보 총 51명에게 공자학원의 실체를 알리고 대응 의지를 묻는 5개 항목의 질의서를 보냈으며, 이번에 답변서 제출 현황을 발표하게 됐다.
교육감은 외국의 침투에 대응하는 자리는 아니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질 우리 학생들이 꿈을 키우는 교실에 검은 손길을 뻗는다면, 지방교육정책 책임자로서 교육감이 정책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는 게 공실본의 견해다.
공실본은 “학문의 전당인 대학에서 학문의 진실성을 훼손하고, 중고교에서 공산주의 선전교육을 통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망가뜨리려는 공자학원의 폐쇄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