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룬궁 건강증진 비결 연구한 서적 출간

코난 밀너
2016년 11월 03일 오전 11:42 업데이트: 2019년 07월 25일 오후 4:58
TextSize
Print

인류는 수천 년 전부터 참선과 명상을 해왔으나 그 배후의 원리에 대해 과학적인 탐구가 시작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임상을 통해 치료법을 검증해야 하는 오늘날 연구진들은 오랜 역사를 가진 참선법의 건강관리 효과에 실체가 있는지 여부를 가려내고 있는 중이다.

연구 결과는 전통적인 수행법에 권위를 더해준다. 예컨대 요가의 경우 불과 몇 십 년 전까지만 해도 서양 의료기관에 의해 허튼소리로 치부되고는 했지만, 최근 들어 일부 의사들은 요가를 유효한 보조적 치료수단으로 환자들에게 추천하고 있다. 

요가는 최근 몇 년간 진행되어온 무작위 대조실험에서 불안, 우울, 긴장, 통증, 심혈관질환, 자가면역성질병을 개선하고 임산부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등 훌륭한 효과를 나타냈다.

최근 출간된 <파룬궁 수련: 건강 및 보다 높은 차원을 향한 명상>은 과학적인 각도에서  전통적인 수련법의 건강증대 효과를 탐구하는 저작이다. 파룬궁(法輪功)의 과학적인 평가는 요가에 비하면 여전히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 마거릿 트레이 박사에 따르면 현재 확보된 데이터만으로도 파룬궁이 강력한 질병퇴치 및 건강관리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호주의 건강 카운슬러 겸 작가인 마거릿 트레이(Margaret Trey) 박사 | Daniel Ulrich

이 책은 파룬궁의 치료효과에 관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정식 연구조사 성과를 망라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진행 중인 한 흥미로운 연구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파룬궁 수련, 현저한 건강 개선 효과

이 연구는 트레이 박사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측에 제출한 박사논문의 일부이자 신간을 저술하는 기초 자료가 됐다.

조사 결과 파룬궁 수련자들이 스스로 밝힌 자신의 건강 상황은 대체로 비수련자들에  비해 양호했다. 수련자 가운데 76%가 자신의 건강 상황이 훌륭하다고 진술한 반면 비수련자 가운데 이렇게 진술한 비율은 19%에 불과했다.

또한 수련자 가운데 무려 83%가 내면의 평화를 느끼며 활력이 가득하다고 밝힌 반면 비수련자 가운데는 오직 44%만이 이렇게 응답했다. 수련자 가운데 신체 건강 혹은 정서적 문제가 자신들의 생활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못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마찬가지로 83%였으나 비수련자 가운데 이렇게 응답한 비율은 50%를 겨우 넘겼다.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트레이 박사는 “내 연구는 중국 바깥의 다른 연구들과는 무척 다르다.

표본 추출 규모가 여타 연구들에 비해 훨씬 큰데다, 인터뷰 대상자들의 신분도 무척 다양하며 30여개 국가에 걸쳐 있다”고 말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조사에 참여한 파룬궁 수련자들이 수련을 시작하기 전 앓고 있던 질환은 대조군에 비해 많았음에도 조사 당시 건강 지표는 오히려 모두 비수련자 그룹에 비해 좋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파룬궁 수련자들 가운데 많은 수가 ‘예전에는 2가지 이상의 질환을 앓고 있었지만, 수련을 시작한 이후로 증상이 현저히 나아지거나 완전히 건강을 회복했다’고 이야기한다.

심성 수련 강조하는 파룬궁

비수련자 그룹 가운데는 파룬궁을 요가나 태극권과 비교하는 이들이 많았다. 세 가지 모두 무념무상의 경지를 중요시하고, 동작이 비교적 느리다는 것이다. 그러나 파룬궁의 한 가지 뚜렷한 특징은 수련자로 하여금 일상생활에서 높은 도덕적 기준을 견지, 그릇된 생각과 집착을 최대한 떨쳐내고 진(眞), 선(善), 인(忍)이라는 우주의 특성에 동화되는 것을 근본으로 삼도록 한다는 것이다.

파룬궁 수련자들은 동작을 연마하는 것 외에도 파룬따파 창시자인 리훙쯔 대사가 쓴 <전법륜(轉法輪)>을 여러 번 통독해야 한다. <전법륜>은 이타적인 마음가짐과 내면을 다스리는 것의 중요성 및 덕(德)과 업력(業力)의 전화(轉化) 관계(나쁜 일을 하면 업력을 쌓게 된다는 것을 포함) 등을 다룬 책이다.

트레이 박사는 연구 과정 중 파룬궁 수련자들에게 ‘파룬궁이 어떻게 건강에 도움이 되는지’를 질문한 결과 수련자들 가운데 다수가 ‘심성 수련이 동작 연마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발견했다.